-
정보의 표현으로서의 언어와 LLM
LLM은 Large "Language" Model입니다. 맞습니다, "언어"가 핵심이죠. 우리는 보통 언어를 인간의 말과 글로 한정해서 생각하지만, 실제로 언어의 개념은 훨씬 더 광범위합니다. -
NotebookLM 활용 팁 4가지
NotebookLM을 작년 중반부터 여러번 소개받았지만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몰랐었는데, 얼마 전에 한번 시간을 내어 탐구를 해봤습니다. 그 과정에서 이런 저런 실험들을 해보았는데, 사내에 공유했던 활용팁 4가지를 더 많은 분들과 나누기 위해 공개합니다. -
-
디자인 패턴, 패턴 언어, 그리고 질서의 본질
크리스토퍼 알렉산더의 패턴 언어,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, 그리고 'The Nature of Order'의 깊은 개념들 간의 연결을 탐구합니다. -
-
기술부채의 원래 의미는?
기술부채라는 표현을 자주 듣곤 합니다. 그런데 가만히 보면 원래의 뜻과는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보입니다. 원래 의미는 조금 더 심오합니다. 원래는 어떤 의미였을까요? -
딜매치는 어떤 서비스인가요?
딜매치는 어떤 서비스인가요? 라는 질문도 면접에서 자주 받는 질문 중 하나입니다. 부동산개발이라는 분야와, 딜매치 서비스를 간단히 설명해드립니다. -
좀 더 효과적인 코드 리뷰를 향하여
채용 면접을 하면서 '코드 리뷰를 하나요?'질문을 종종 받습니다. 코드 리뷰에 대한 오해와 단상들을 풀어봅니다. -
피드백 루프로서 TDD의 효용
채용 면접을 하면서 많이 받는 질문 중 하나가, 'TDD 등 기술실천법을 실천하고 있나요?'라는 것입니다. TDD는 어떤 원리로 동작할까요? 어떤 점에서 효과가 있는걸까요? -
오래된 미래 htmx. SPA의 새로운 대안
웜블러드에서는 React나 VueJS 같은 SPA 기술을 사용하지 않습니다. 대신에 단순한 기술스택을 사용해서, 유의미한 작은 기능들을 2~5일 정도 규모로 끊임없이 작고 민첩하게 개발해가고 있습니다.